노동자의 어머니

by 불꽃 posted Apr 17,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노동자의 어머니

: 이소선 평전

민종덕 저 | 돌베개


이소선.jpg


책소개

전태일의 어머니, 노동자의 영원한 어머니
이소선의 생애를 읽는다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이자 한국 노동운동의 대모로 불리는 이소선(1929~2011)의 타계 5주기를 맞아 그리움으로 펴내는 뜨거운 평전. “제가 못다 이룬 일을 어머니가 꼭 이루어 주세요”라 당부하며 죽어가던 아들 전태일과의 약속을 남은 평생 한결같이 지키며, 고통받고 소외당하는 노동자 민중과 평생 함께하고 싸워 나갔던 그의 삶을 생전의 구술과 다양한 기록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하고 이야기 형식으로 생생하게 그려 냈다.

 

저자 소개

 저 : 민종덕

1953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났으며, 1960년대 말 가족이 이농하여 서울로 올라왔다. 1974년 전태일의 일기를 접하고, 자신의 길이 전태일을 따라 사는 것이라 결심하고 곧바로 전태일의 어머니 이소선을 찾아갔다. 평화시장에 취직해서 일하다 1975년부터 청계피복노조에서 노동운동에 투신해 지역위원, 대의원, 운영위원, 총무부장, 사무장, 지부장 등을 지냈고 1984년에는 청계피복노조의 복구를 주도적으로 구상하고 실행했다. 『전태일 평전』의 출판과 광주민중항쟁의 진실을 세상에 알리기 위한 『광주백서』 제작 및 배포에도 참여했다. 『지역노조란 무엇인가?』 등을 집필했고, 『한국노동운동 20년의 결산과 전망』, 『전태일 전집』 등을 기획했다. 2001년 전태일기념사업회 상임이사를 지냈고 2005년에는 전태일기념관건립추진위원회 집행위원장으로 전태일 거리 및 전태일 다리 조성에 관여했다. 현재 전남 구례로 귀촌해 현재 전남 구례로 귀촌해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지리산 사람들’ 활동 및 ‘구례자연드림파크’에서 견학자 안내 등을 하고 있다.

목차

추천의 말

프롤로그
약속
식민지의 딸
밑바닥 인생
너의 분신, 우리의 터전
대결
어둠의 시대
어둠을 가르는 몸짓
작은 혁명
승승장구
목숨을 걸고
새날은 오려는가
서울의 봄
피바람의 계절
어둠 속의 모색
부활
합법성 쟁취를 위하여
서노련을 둘러싼 분열과 투쟁
비약
전 국민의 전태일
죽음, 죽음, 죽음이여! 열사여!
노동자의 전국적 조직화
정권이 교체됐다 한들
살아오는 전태일, 다가오는 사람세상
이 몸이 가루가 될 때까지
태일이와의 약속을 끝까지 지키고
에필로그

후기 | 참고 및 인용 문헌 | 『어머니의 길』 서문 | 이소선 연보 | 찾아보기

출판사 리뷰

전태일의 어머니에서 모든 노동자의 어머니로
- 협박과 회유, 구속과 고문을 물리치고 걸어간 어머니의 길

‘전태일’을 아는 사람이라면 전태일의 영정을 끌어안고 고통스럽게 오열하는 젊은 어머니의 사진이 마음속에 각인된 이가 적지 않을 것이다. 아들의 죽음 이후로 향년 82세로 세상을 떠나기까지, 41년간을 줄곧 노동운동과 민주화운동의 현장에서 노동자·시민과 함께하던 운동가 ‘이소선 어머니’의 모습을 그리는 이 역시 여전히 많을 것이다. 『노동자의 어머니- 이소선 평전』은 ‘전태일의 어머니’, 나아가 모든 노동자의 어머니로 불리던 이소선의 한평생을 실제 구술과 다양한 기록을 바탕으로 하여 한 권으로 정리하고 그려 낸 책이다.

1970년 11월 13일, 이소선의 아들 전태일은 청계천 시장상가 피복제조공장 노동자들의 열악한 근로조건 개선과 생존권 보장을 위해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라는 말을 외치며 자기 몸에 스스로 불을 붙인 끝에 세상을 떠났다. 새까맣게 그을린 몸으로 죽어 가던 아들 전태일과 ‘네가 못 다 이룬 것을 내가 꼭 이루겠다’는 평생의 약속을 한 이후로, 이소선은 이전까지 살아왔던 꼭 그만큼의 시간 동안, 자신이 했던 약속을 실천하며 노동자가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위해 그 어떤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싸워 나갔다. 그렇게 그는 ‘노동자의 어머니’라는 별명을 얻었다. 2016년 9월 3일은 이소선이 세상을 떠난 지 만 5년이 되는 날이다.

자주적인 노동운동이 전무하다시피 했던 70년대 한국의 노동 풍토 속에서, 운동의 경험이 있었던 것도 아닌 이소선은 오직 아들의 뜻을 잇겠다는 일념으로 전태일과 뜻을 함께했던 친구들, 그리고 청계의 많은 노동자들과 함께 힘을 모아 투쟁한 끝에 ‘청계피복노조’라는 자주민주적 노동운동의 싹을 틔웠고 민주노조의 깃발을 세웠다. 또한 노동자의 권익을 쟁취하고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모든 민중의 단결된 투쟁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독재정권의 엄혹한 탄압 아래에서 민주세력과 함께 민주화투쟁에도 발 벗고 나섰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는 때로는 ‘여간첩’ 소리를 듣고, 경찰과 정보부에 끌려가 고문을 당하기도 했으며, 세 번의 수감생활을 거쳤고, 재산을 챙겨주겠다며 숱한 회유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단 한 번도 굴하지 않고, 언제나 꿋꿋하고 당당한 태도로 민주사회, 노동해방을 꿈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