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모임 관련공지
레닌은 “혁명적 이론 없이 혁명적 실천 없다”고 했습니다.
<볼셰비키-레닌주의자>는 현재 여러 동지들과 함께 혁명 이론의 정수인 맑스-레닌-트로츠키주의 고전 학습 모임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혁명 이론에 목이 마른 동지들의 관심을 환영하며, 이 모임을 통해서 혁명적 실천을 지향하는 동지들의 갈증이 해소되기를 희망합니다.
자세한 문의는 트위터의 쪽지 기능(@jesainter)이나 이메일(bolle1917@gmail.com)을 통하여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볼셰비키-레닌주의 학습목록
2021년 1월 15일 수정
<차례>
1. 마르크스주의와 트로츠키주의 입문자를 위한 학습목록
(1) 강령과 전술/ (2) 스탈린주의/ (3) 국가자본주의론/
(4) 여성/소수자 해방/ (5) 노동투쟁과 조합주의(노동자주의)/ (6) 제국주의와 전쟁/
(7) 혁명 전통/ (8) 인민전선: ‘프롤레타리아 계급 전략의 핵심 문제’/
(9) 혁명사/ (10) 영미 국수주의와 트로츠키주의 운동의 퇴보
“현실을 직시하고, 최소 저항선을 찾지 않으며, 사물의 이름을 올바르게 부르며, 아무리 쓰디쓴 진실도 대중에게 있는 그대로 말하며, 난관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큰일뿐 아니라 작은 일에도 충실하며, 강령을 계급투쟁의 논리에 일치시키며, 행동으로 떨쳐 일어날 시간이 왔을 때 대담성을 발휘하는 것, 이것이 제 4 인터내셔널의 규율이다.”―트로츠키, <자본주의의 단말마적 고통과 제4인터내셔널의 임무(이행강령)> 중에서
“학습하라! 선전하라! 조직하라!”―칼 리프크네히트
“…물론 당신은 혁명을 이끌 당을 건설하기 위하여 대중을 향한 길을 찾을 수도 있다. 그러나 대중을 향한 길은 전위를 통해 나 있으며, 그것을 건너뛰지 않는다. 몇몇 사람들이 이 점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들은 공산주의적 노동자들을 제치고 대중운동의 한복판에 뛰어들어 거기서 가장 선진적이며 이론적으로 계발된 그룹 즉 전위 중의 전위인 좌익반대파로 인입할 최상의 인자들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생각은 조급함과 몰이해의 산물로, 잘못된 것이다. 반면에 우리는 선동이 아닌 선전을 주된 임무로 삼는다.”―제임스 P 캐넌
과학적 사회주의와 공상적 사회주의 (엥겔스, 1880, 맑스 엥겔스선집 5권, 박종철출판사)
***공산당 선언 (맑스 1848)
정치경제학: 자본론, 경제학의 기초이론 (거름) 등
***국가와 혁명 (레닌 1917, 논장)
국가에 대하여 (레닌 1919, 노동자정치신문 37호, 38호)
***제국주의론 (레닌 1916, 백산서당)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엥겔스)
변증법적 유물론: 새롭게 보는 논리학(책벌레), 철학에세이(동녘), 자연과학으로 보는 마르크스주의 변증법(책갈피)
러시아 혁명에 대한 세 가지 사상 (트로츠키, 역사의 대안 트로츠키주의, 풀무질)
10월 혁명을 옹호하며(1932) (트로츠키)
연속혁명의 기본정식들 (트로츠키, 연속혁명 중, 책갈피)
***노동자국가, 테르미도르 그리고 보나파르티즘 (트로츠키 1935)
독재자들과 오슬로 고원 (1936) 『공산당 선언』 출간 90주년에 부쳐 (1937)
※ 참고, 그러나 아주 중요한
나의 생애 (트로츠키, 범우사)
아이작 도이처의 트로츠키 전기(무장한/추방된/비무장의 예언자 트로츠키, 필맥)
***이행 강령(1938)
(IBT) 혁명적 사회주의 조직의 강령(3호, 1987)
(IBT) 이행 요구들 : 코민테른에서 제 4 인터내셔널까지
혁명 정당의 건설과 공동전선 전술 (PRG 1989)
***볼셰비키그룹 강령(구 명칭: 제4인터안)
좌익 공산주의 소아병 (레닌, 1920)
볼셰비키와 투표 그리고 계급노선 (<1917> 32호, 2010)
공산주의와 선거 (IBT 독일지부의 [마르크스주의 게시판] 1994년)
[노정협과의 선거전술논쟁1] 계급협조를 선동하는 노정협/ [노정협과의 선거전술논쟁2] 4인터 강령안과 선거전술: 노정협의 ‘문필조작’에게/ [노정협과의 선거전술논쟁3] 쟁점은 그렇게 복잡하거나 심오하지 않다
볼셰비키주의와 스탈린주의 (트로츠키, 역사의 대안 트로츠키주의, 풀무질)
배반당한 혁명 (1936)
***레닌의 反스탈린 투쟁 (신평론)
날조를 일삼는 스탈린 일당 재판(再版) (iSt)
히말라야의 '인민전쟁': 연속혁명인가, 마오주의 ‘신민주주의’인가? (IBT)
남한 17대 대선에 대한 IBT의 입장 (2007년 11월)
(IBT) 중국은 어디로? : 정치혁명과 반혁명의 갈림길(31호, 2009)
(IBT) 붕괴의 벼랑으로 향하는 중국(26호, 2004)
(IBT) ‘잊혀진’ 한반도 전쟁 (1995) <1917> NO 16
(IBT) 러시아: 자본주의 생지옥(24호, 2002)
남한 17대 대선에 대한 국제볼셰비키그룹(IBT)의 입장 (2007년 11월)
**소련 등 노동자국가 성격에 대한 몇 가지 문제제기에 대한 대답
맑시즘 2015 참관기 1: ‘중국─사회주의인가 자본주의인가?’
**중국 사회성격에 대한 메모: 중국은 이미 자본주의가 되었는가?
홍콩 정세의 세 가지 축: 제국주의, 관료집단, 노동계급의 혁명전위
맑시즘 2019 참관기 1: ‘홍콩의 송환법 반대 투쟁’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엥겔스)
(IBT)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여성들 내에서 초기 볼셰비키의 활동
(IBT) 사랑과 결혼: 동성애, 자본주의 그리고 평등
(IBT) 박탈당한 아일랜드 여성의 선택권: 요구에 의한 무료 낙태를 즉각 허용하라!(31호, 2009)
(IBT) 반동적인 낙태반대 운동을 분쇄하자!: 사회주의 혁명을 통한 여성해방을!(7호, 1990년 겨울)
***(IBT) 맑스주의, 페미니즘, 여성 해방(19호, 1997)
(IBT)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그리고 ‘미투 운동’
‘맑시즘 2012’ 참관기 2: ‘맑시즘, 페미니즘 그리고 여성해방’
4인터안 여성/소수자/청소년: 여성과 성소수자, 청소년의 해방을 위하여!
고(故) 박원순 성폭력 고소사건에 대하여 : ‘남녀분리주의 3대 준칙’의 비민주성
무죄추정의 원칙을 방어하자!: 안희정 1심 판결에 부쳐
사회 하층끼리의 '이이제이' 싸움과 그에 몰입케 하는 소위 '좌파' '진보'에 대하여
충남 성폭력 사건 공개토론회 참관기 : ‘인권감수성’과 ‘계급/정치 감수성’의 심각한 이상증세
***무엇을 할 것인가-박종철출판사판 (레닌, 1902)
**제국주의 시대의 노동조합론 (트로츠키, 노동조합 투쟁론, 풀무질)
(IBT) 국제항만창고노동조합(ILWU)의 투쟁 : 국제항만창고노동조합 노동자들이 계급투쟁 강령을 내건 후보를지지하다/ 공산주의자들의 노동조합 전술/ 전투적 항만 노동자의 강령
국유화된 산업과 노동자 통제(1938) (트로츠키, 1938)
**미국 트로츠키주의의 역사(The History of American Trotskyism)
제국주의론 (레닌 1916)
사회주의와 전쟁 (레닌 1915, 두레)
제2인터내셔널의 붕괴 (레닌 1915, 두레)
반제국주의 투쟁이 해방의 열쇠다!: 마테오 포사와의 인터뷰(1938)
리비아 사태: 무지와 맹목, 혼돈에 빠진 ‘사회주의자’들
**벨라루스 사태에 대하여: 자본주의 반혁명과 제국주의 정권교체 시도를 격파하자!
(IBT) 제국주의 전쟁과 최소저항선을 좇는 가짜 사회주의자들
(IBT) 제국주의의 피비린내 나는 자취 ( 24호, 2002)
(IBT) 제국주의와 세계불평등: 자본축적과 신식민지 약탈( 31호, 2009)
(IBT) 사회주의 혁명가와 제국주의 전쟁 ( 22호, 2000)
레닌 이후 제3 인터내셔널
**레닌과 전위당 (iSt)
(IBT) 스파르타쿠스동맹(SL)에서는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미국 트로츠키주의의 역사(The History of American Trotskyism)
(8) 인민전선: ‘프롤레타리아 계급 전략의 핵심 문제’
스탈린주의 vs 트로츠키주의 [날조를 일삼는 스탈린 일당 재판(再版)] 4장
“맑스주의통일노동자당(POUM)과 인민전선”(트로츠키, 스페인혁명, 풀무질)
“스페인 정세에 대한 질문에 답하여”, 같은 책
“스페인의 교훈: 마지막 경고”, 같은 책
“계급, 당, 지도부--스페인 노동자계급은 왜 패배했는가?”, 같은 책
남한 17대 대선에 대한 국제볼셰비키그룹(IBT)의 입장
남한 18대 대선에 대한 국제볼셰비키그룹(IBT)의 입장
Popular Front: Not a Tactic But a Crime - No to Popular Frontism!
The Popular Front: A well-covered trap
Popular Fronts vs Proletarian Revolution: Russia-Spain-Sri Lanka
The Russian Revolution and the Popular Front: How to Defeat Reformism
『러시아 혁명사』 제 1권 <상편>/ 『러시아 혁명사』 제 1권 <하편>/ 『러시아 혁명사』 제 2권 <상편>/ 『러시아 혁명사』 제 2권 <하편>/ 『러시아 혁명사』 제 3권 <상편>/ 『러시아 혁명사』 제 3권 <하편>
/ 10월 혁명의 교훈(1924) / 10월 혁명을 옹호하며(1932)
A Trotskyist Critique of Germany 1923 and the Comintern (ICL-FI) [한글번역: 1/2/ 3]
미국 트로츠키주의의 역사(The History of American Trotskyism)
프랑스: 프랑스 혁명사 3부작 (맑스)
쿠바: Cuba and Marxist Theory / Cuba, the LRCI and Marxist Theory / Smash Yankee Imperialism! - Defend the Cuban Revolution!/
베트남: Stalinism and Trotskyism in Vietnam
네팔: (IBT) 히말라야의 ‘인민전쟁’ : 연속혁명인가, 마오주의 ‘신민주주의’인가?
헝가리:
Political Revolution in Hungary--Ten Years After
SWP 1956 vs. SWP 1980: "Pure Democracy" or Political Revolution in East Europe
폴란드: Solidarnosc: Acid Test for Trotskyists (1988)
이란: Iran and the Left: Why They Supported Islamic Reaction
**IBT로부터의 분립과 혁명 사상의 연속성: ‘영미 국수주의’로부터 레닌-트로츠키 혁명사상을 방어하자!
IBT의 정치적 파산과 붕괴 (2018년 10월 28일)
라일리 분파의 분립 편지에 대하여 (2018년 10월 7일)
이란 1979년 혁명의 성격 요약 (2017년 7월 4일)
이집트, 터키, 브라질 등 내부 논쟁 제출 글 (2013년 7월 3일~2017년 4월 8일)